본문 바로가기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감정 표현 연습, 공감능력 강화하기

xxjxx 2025. 4. 3.
반응형

아이들의 정서발달과 사회성 향상에 중요한 감정표현 능력은 부모의 태도와 가정환경에서부터 길러지기 시작합니다. 감정은 숨기거나 억누를 대상이아니라, 표현을 하면서 이해 받아야 할 소중한 심리적 언어이기도 합니다.

오늘의 글에서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할 수 있는 감정 표현 훈련법과 공감 능력 키우는 실천 팁을 소개를 하면서 감정 이름붙이기, 감정일기, 역할극, 부모의 감정공유 등등 일상에서 쉽게 활용 할수 있는 방법을 통해서 아이는 자기 감정에 솔직해지면서 타인의 감정에서도 민감해지기 시작합니다.

공감 능력은 평생을 살아가는 힘이자 인간관계의 핵심 입니다. 오늘 하루 10분, 아이의 감정에 귀 기울여 보세요.

부모와 아이가 함께하는 감정 표현 연습, 공감능력 강화하기

감정을 표현하는 아이는 더 강합니다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조절하는 능력은 단순히 아이의 성격 문제가 아니라, 정서적 건강과 사회성의 바탕입니다.

감정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아이는 친구 관계, 학습 태도, 자기 통제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부모와 자연스럽게 공유하며 자란 아이는 낯선 환경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문제 해결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시작은 가정에서 부모와 함께하는 작은 연습에서 비롯됩니다.

집에서 바로 실천하는 감정 표현 연습

  1. 감정 이름 붙이기 놀이
    아이의 표정을 보고 “지금 ○○는 속상한 기분 같아, 무슨 일 있었니?”라고 말해보세요.
    감정을 ‘이름 붙이기’ 하면 아이는 내면을 말로 꺼낼 수 있는 힘을 기릅니다.
  2. 감정 카드 만들기
    종이에 감정 이름과 표정을 그려 가족 모두가 함께 사용하는 감정 카드 세트를 만들어 보세요.
    식사 전 “오늘 기분은 이 카드 같아” 하고 나누는 것도 좋은 습관입니다.
  3. 역할극과 상황극
    인형이나 캐릭터를 활용해 “친구가 나의 장난감을 부셨을 때” 등 다양한 상황을 연기해 보세요.
    아이 입장에서 감정을 해석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4. 감정 일기 쓰기/그리기
    유아는 간단한 그림으로, 초등학생 이상은 짧은 문장으로 하루의 기분을 정리하게 해보세요.
    감정 표현은 글쓰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5. 부모의 감정 모델링
    “엄마는 오늘 기쁜 일이 있었어. ○○가 도와줘서 정말 고마웠어.”
    이런 말 한마디가 아이에게는 감정을 말로 표현해도 된다는 허락이 됩니다.

공감 능력을 기르려면 이렇게 해보세요

  • 정답보다 감정에 집중하기
    아이가 “나 오늘 혼자였어”라고 말할 때, “왜 혼자 있었어?”보다 “그래서 어떤 기분이었어?”가 먼저입니다.
  • 아이의 감정에 눈높이 맞추기
    부모 입장에서는 별일 아니더라도, 아이에게는 큰 일일 수 있습니다.
    그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공감의 출발입니다.
  • 감정은 수용하되 행동은 지도하기
    화를 내는 건 괜찮지만, 물건을 던지거나 친구를 때리는 행동은 “다른 방법”을 알려줘야 합니다.
  • 실수도 배움의 기회로
    감정 폭발 후 “괜찮아, 누구나 실수할 수 있어. 다음엔 이렇게 해보자”는 말이 아이의 자존감을 지켜줍니다.

 

 

감정 표현은 부모의 공감적 태도와 반복적인 연습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훈계하지 않고, 함께 이름 붙이고 이야기 나누는 부모야말로 최고의 정서 멘토입니다.

감정을 말하는 힘은 결국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다리입니다.
오늘 하루, 아이의 감정을 물어보세요. 그리고 내 감정도 자연스럽게 나눠보세요.
그 순간부터 아이는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은 세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